정책·재정·금융 설계분석

재정승수 산출 방식과 예산정책 효과의 경제학적 분석

Fund Navi, 개인·사업자·재테크 니치금융 내비게이션 2025. 5. 14. 08:33
반응형

재정정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핵심 지표인 재정승수(Fiscal Multiplier) 는 단순한 배율 개념이 아니다. 그 산출 방식은 거시경제학, 재정학, 계량경제학의 이론적 토대 위에 구축된다. 본문에서는 재정승수의 정의와 산출 방식을 소개하고, 재정승수가 경제주기·정책구조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재정승수 추정의 통계학적 기법과 한계점을 학문적으로 해설한다.


재정승수 산출 방식과 예산정책 효과의 경제학적 분석
재정승수 산출 방식과 예산정책 효과의 경제학적 분석

목차

  • 재정승수의 정의와 경제학적 의미
  • 재정승수 산출 공식 및 이론적 기초
  • 정책 유형별 재정승수의 차이
  • 경기변동과 재정승수의 탄력성
  • 재정승수 추정의 통계학적 접근법
  • 결론: 재정정책 설계와 승수 효과의 한계

 

재정승수의 정의와 경제학적 의미

재정승수(Fiscal Multiplier) 는 정부지출 또는 세입 변화가 국내총생산(GDP)에 미치는 효과의 크기를 나타낸다.

 

정의:

ΔY / ΔG

  • ΔY: GDP 증가분
  • ΔG: 정부지출 증가분

 

경제적 해석:

  • 재정승수 > 1: 정부지출이 경제성장을 확대
  • 재정승수 < 1: 정부지출이 제한적 성장 효과

Keynesian Model 에서는 승수가 자동적 경기조절 장치로 간주된다.


 

재정승수 산출 공식 및 이론적 기초

단순 Keynesian 승수:

k = 1 / (1 - c(1 - t) + m)

  • c: 한계소비성향
  • t: 한계세율
  • m: 한계수입성향(수입의존도)

이론적 기초:

  • 한계소비성향이 클수록 승수가 커짐.
  • 조세 및 수입 누수가 클수록 승수가 작아짐.

Blanchard-Perotti(2002) 모형:

구조적 VAR(Structural VAR)을 이용하여 충격 반응 함수로 승수를 추정.


 

정책 유형별 재정승수의 차이

지출승수(G Expenditure Multiplier):

  • 인프라 투자, 고용 프로그램 등 정부지출의 경제효과.

세입승수(Tax Multiplier):

  • 세금 감면·인상에 따른 소비·투자 변화.

승수 크기:

정책 유형 예상 승수
정부지출 0.8 ~ 2.5
소득세 인하 0.3 ~ 1.5
부가가치세 감면 0.2 ~ 1.0

(출처: IMF, OECD 연구자료 평균값)

 

정책 설계 시 승수의 크기에 따라 우선순위 결정 필요.


 

경기변동과 재정승수의 탄력성

재정승수는 경기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비선형성).

 

Auerbach-Gorodnichenko(2012) 모델:

승수 = α + β × 경기상태

  • 경기침체기: 승수 ↑ (β > 0)
  • 경기호황기: 승수 ↓ (β < 0)

실증적 결과:

  • 침체기 재정승수: 1.5 ~ 2.5
  • 확장기 재정승수: 0.3 ~ 1.0

정책적 함의:

재정정책은 경기침체기에 가장 효과적.


 

재정승수 추정의 통계학적 접근법

VAR(벡터 자기회귀) 분석:

정부지출·세입·GDP 변수의 상호작용을 모델링.

 

충격 반응 함수(Impulse Response Function, IRF):

정책충격이 GDP에 미치는 시간 경과 효과 분석.

 

패널 데이터 분석:

다국간 데이터로 승수의 구조적 차이 비교.

 

한계:

  • 변수 간 내생성 문제
  • 충격 크기 및 타이밍 불확실성
  • 장기 승수와 단기 승수의 차이

E(Multiplier) 기대값과 분산:

E(M) = Σ (p_i × M_i)

Var(M) = Σ (p_i × (M_i - E(M))²)

 

정책효과의 기대값과 불확실성 범위를 정량화.


 

결론: 재정정책 설계와 승수 효과의 한계

재정승수는 정부지출 및 세제조치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측정하는 핵심 지표다. 그러나 승수는 고정값이 아니라 경제주기, 정책구조, 국민의 소비행태 등에 따라 변화하는 탄력적 지표다. 정책 설계자는 경제학적 이론과 통계적 추정치를 결합하여 승수효과를 최대화하되, 내생성 문제와 비선형성을 고려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FAQ

Q1. 재정승수는 모든 국가에서 동일한가요?

아니요. 경제 구조, 소비성향, 정책 신뢰도에 따라 국가별로 크게 다르다.

 

Q2. 왜 경기침체기에 승수가 더 큰가요?

자원의 미활용(실업, 유휴생산능력)으로 인해 추가 지출의 성장효과가 확대된다.

 

Q3. 세입승수는 왜 지출승수보다 작은가요?

소득세 감면이 소비로 완전히 전환되지 않고 일부가 저축으로 흡수되기 때문이다.

 

Q4. 재정승수 추정의 가장 큰 통계적 어려움은?

변수 내생성과 정책충격의 식별 문제가 가장 크다.

 

Q5. 승수가 작으면 재정정책은 효과가 없나요?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지만, 자동안정화 기능과 심리적 신호효과 등 부수적 효과도 고려해야 한다.


 

관련글 제안

반응형